수능, 공시 과목/수학
역함수 설명에서, 변수 바꾸기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해보기
공시탈출넘버원
2024. 3. 7. 22:09
최대한 쉽게 설명한답시고 썼는데, 안 쉬울지도...
y=f(x)의 역함수를 구하는 과정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.
- 주어진 함수 y=f(x)에서
- 변수 x와 y의 위치를 바꾸어 f^-1 (y)=x 로 둔다음
- 변수를 재설정하여 y = f^-1 (x) 라고 한다.
이 때, 변수를 재설정하는 부분에서 당황스러울 때가 있다.
왜냐 하면 무의식 중에 1,2,3의 x와 y를 고정 변수로 인식하기 때문이다.
사실 1~2와 3의 x,y가 다른 변수다.
변수를 좀 다르게 쓰는 게 좋다.
- 주어진 함수 y=f(x)에
값 x0 대신 값 t를 넣으면, 값 y0 대신 z가 나온다고 생각하여
z=f(t)로 바꾸어 본다. - f의 역함수를 g로 표시하면, g(z)=f g(t) = t 이다.
t = g(z) 로 둔다. - 다시 값 t 대신 x0를 넣고, z 대신 y0를 넣어도 잘 작동한다.
y0 = g(x0) 라고 한다. - 모든 x0, y0에 대해 성립하니까 x, y를 넣어도 무방하다.
그리고 g 대신 f^-1 이라는 식을 쓰기로 한다.
싹 바꿔주면
y = f^-1 (x) 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