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173

단층 퍼셉트론(simple layer perceptron)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: 그냥 선형 방정식이다.

편의상 논리 게이트용으로 만들려고, 2변수로 설정해보자. 그러면 아래처럼 나온다. (쓸데없는 태클방지용으로 적어두는, 평면은 유클리드 기하학 기반이다.) 많은 기존 자료에서 단층 퍼셉트론에 AND, OR, NAND 가 들어간다고는 설명해 놨는데, NOR 이 들어가는지는 설명을 안 해놨다. 내 생각에는 들어가지 싶다. 못 들어갈 이유가 없다. 안 적은 이유는 사용빈도 때문인듯? NOR은 잘 안쓰는데다 별개의 무엇을 지정해야 할 만한 필요와 가치가 훨씬 적다. 관련 파이썬계열 코드. OR 게이트 코드에서 가중치(weight)와 편향(bias)의 부호를 싹 바꿔준다. def NOR_gate(x1, x2): w1 = -0.6 w2 = -0.6 b = +0.5 result = x1*w1 + x2*w2 + b if..

정보처리기사 준비시작

정보처리기사 따야할 필요성이 생겼다. 인터넷에 올린 후기들 보니 교재를 사서 공부했다는 사람이 굉장히 많았다. 그런데 교재 사서 오래 공부할 시간을 내고싶지 않아서 유튜브에 검색해보니, 개념암기+기출회독 으로 빠르면 3일, 길면 2주동안 공부하여 과락을 피해 60점 이상을 받자는 영상이 있어서 이를 실행해보겠다.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4eSv1NttBs 평균 공부시간 일3~4시간이라는데, 그정도로 개념을 읽어보려면 하루에 5과목 전체 1회독은 도나보다. 22.01.04.화 해당 유튜버가 개념 보라고 소개해준 블로그(https://blog.naver.com/wook2124/222102990691)로 가봤다. 1과목: 소프트웨어 생명주기~사용자 인터페이스 1회독

수험서 되팔기: 알라딘 매입불가 뜨면, 중고매장에서도 매입하지 않는다.

공시를 중단하거나 합격했다면, 교재를 처분해야 할 것이다. 알라딘 중고매입을 모바일 앱이나 웹브라우저로 확인하였을 때, 매입불가 판정이 뜨면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매입하지 않는다. 팔고 싶다면 개인간 중고거래나 고시촌 중고서점에 매입요청을 시도하는 수밖에 없다. 한 4년쯤 지난 옛날교재는 시리즈를 과목당 5천원에 올려도 거의 안 팔린다.

정지조건, 해제조건 : 어떤 새끼가 이따위로 번역했을까?

암기가 잘안되서 정리.ㄱ. 유럽, 미국 법률을 수입했다고 보고, 그 원문 뜻을 찾아보았다.정지 조건(부) a condition precedent. 해제 조건(부) a condition subsequent. precedent는 먼저 일어난다는 뜻이고, subsequent는 이후에 일어난다는 뜻이므로cond' precedent     조건이 먼저 일어난다cond' subsequent  조건이 나중에 일어난다이를 시간 순으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.(정지조건)condition-precedent ▶ (사건)event ▶ (해제조건)condition subsequent ㄴ. 적당히 논리적으로 설명해보았다.대전제1  '어떤 사건(event X)'이 일어나면, 그때부터 법적 효력이 실제로 유효(effective 1)이..

암기요령) 최소극대화 이론의 4가지 유형 안 헷갈리게 외우기

결정이론/선택이론에서 여러가지 전략 중 무엇을 선택할 지 고르는 메타전략이며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. 표기는 보는 사람이 알아보기 쉽게 Max 와 min 형태를 유지한다. 최소극대화 (미니맥스) minimize the 'Maximum (loss)' 최대극대화 (맥시맥스) Maximize the 'Maximun (benefit)' 최소극소화 (미니민) minimize the 'minimum (loss)' 최대극소화 (맥시민) Maximize the 'minimum (benefit)' 표기는 ㅇㅇ/▲▲/화인데 순서대로 번역하면 된다. 뜻은 ▲▲를 ㅇㅇ화 한다는 것이다. 표기를 직역한 점이 아쉽다. ▲▲의 ㅇㅇ화 로 의역하여 굳혔다면 덜 헷갈렸을 것이다. 작명법과 특징 암기하는 표는 아래와 같다. 작명법: ㅇ..

국세, 지방세 종류와 구분

2020.10. 개정된 것. 특히 지방세 구분이 까다로웠는데, 다른 사람의 분류기준으로는 만족스럽지 않아서 이렇게 만들었다. 기준은 국세기본법, 지방세기본법 두 법률이다. 지방세는 기초자치단체 세목만 외우고, 광역자치단체 세목을 그 나머지로 알면 편리하다. 구: 등록면허, 재산 시/군: 담배 주민 지방소득 재산 자동차. 광역자치단체 '시'는 5대광역시+서울특별시 이다. 특별시/광역시로 쓰면 글자수 쓸데없이 늘어서 줄임. 특별자치 시/도 는 특성상 1계층 광역자치단체이기 때문에, 전체 세목을 싹 징수한다. 지방세에서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 세목이 충돌하면 기초자치단체 세목이 먼저다. 시/군과 광역시가 충돌하면 시/군을 우선한다. 자치구와 도 는 충돌하는 사례가 없다. 다시말해, 'ㄱㄱ광역시 ㅇㅇ군'은 ..